학습자료 썸네일형 리스트형 3D모델링 제품 이미지를 마우스로 회전시키는 작업을 하다 가끔 고객은 황당스럽거나 당황스러운 요구를 어렵지 않은 일로 오해하고 쉽게 얘기합니다.그냥 머리속으로 떠올려보면 쉬울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들이 보기엔 간단한 일도 그 작업을 하는 사람은 밤을 새기도 하며 눈 아래 다크 써클이 생겨가며 그야말로 피곤에 쩔어 결과물을 만드는 것인데 고객은 결과만 보기 때문에 금방 나온 결과물을 쉬운 일이였다고 판단하게 되죠.이럴 때 보통 비용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게 됩니다. 그래서 어떤 일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이 없는 상대와 얘기 할 땐 디테일 한 설명으로 이해를 시킨 뒤에 시작하는 것이 뒷탈이 없습니다.물론 시간을 내어 열심히 설명했는데 다 듣고 거절하면 좀 허무하죠. 간단히 견적내는 것도 일이라면 일인데 시간을 그렇게 뺏기고 나면 짜증도 .. 더보기 인벤터로 배관 3d 모델링 하면서 느낀 점 인벤터로 배관 3d 모델링 하면서 느낀 점인벤터를 굉장히 잘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참 많았습니다.파이프 런 기능을 최대한 사용하여 모델링을 완성 하려고 노력했습니다.가장 이해하기 어려우면서 힘들었던 부분은 주요 부속품 위치를 조금만 변경 했는데 전체 파이프 라인이 흐트러졌습니다.그렇게 배곤들이 흐트러지는 바람에 바로 잡는데 애를 먹었고, 때론 수습이 힘들어 뒤로가기로 원래 형상으로 돌려놓곤 했습니다.밸브의 경우에는 입맛에 맞는 밸브가 콘텐츠 센터에 부족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다녔는데 어떨때는 하루종일 원하는 밸브 찾다가 하루를 보낸 적도 있었습니다.물론 제가 여러모로 부족해서 이런 일이 발생되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에러 메세지가 진짜 에러가 .. 더보기 인벤터 파이프 런을 활용한 모델링 인벤터로 모델링을 할 때 어떻게 보면 가장 간단한 방법이 조금 번거롭더라도 일일히 모델링을 하면 됩니다.하지만 2d 도면 작업이든 3d 모델링이든 작업 시간 단축은 중요한 부분입니다.그런 의미에서 인벤터의 파이프 런 메뉴를 활용하여 배관 작업을 하면 작업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제가 해 본 만큼 강좌로 알려드리고는 싶지만 저도 아직은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학습이 좀 더 필요한 상태입니다.배관을 모델링 하는 방법은 굳이 파이프런을 활용하지 않아도 할 수 있습니다.어떻게 보면 깊이 생각하지 않고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하나씩 모델링 하고 콘텐츠 센터를 활용하면 원하는 3d 모델링은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인벤터에서 굳이 배관 관련한 메뉴로써 기능을 제공하고 있을땐 그만한 이유가 있겠죠. 오늘 제가 어셈.. 더보기 인벤터를 활용한 열교환기 모델링 인터넷을 검색하고 강좌를 봐도 열교환기와 같은 배관 관련 설계에 인벤터는 잘 사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혹시라도 참고 할 만한 포트폴리오나 강좌가 있으면 참조 하려고 했는데 찾기가 쉽지 않네요.2d 플랜트 관련 도면은 많이 그렸었지만 3D로는 거의 그려본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마침 얼마 전 배관 시스템에 대한 3D 모델링을 부탁해와서 사실상 처음으로 열교환기를 한번 모델링 해볼 수 있었습니다. 콘텐츠 센터를 적절히 활용하면 모델링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많이들 알지만 제가 잘 몰라서 그런지 몰라서 그런지 Long Welding neck 타입 플랜지 같은 경우는 컨텐츠 센터에 없어서 모델링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그리고 볼트체결 같은 경우에도 설계 탭에 있는 '볼트연결' 기능을 사용하려고 했지만 Stu.. 더보기 수차 동력 전달 장치 모 기업에서 수력 발전기를 만들고 싶다고 하여 기업이 원하는 디자인을 3d 모델링 하였습니다.사정이 생겨 중간에 그만두긴 했습니다만 초기 컨셉 디자인으로 사용하였는데 제가 생각했던 디자인이 아니여서 그렇게 흥미 있는 작업은 아니였습니다.수차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발전기가 한 분야의 기본 지식만으론 개발하기 어렵죠.무엇보다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니 전기에 대한 지식이 가장 우선되어야 했습니다.그런데 오로지 쇠만 만지시던 분들이 주변 도움없이 발전기를 만든다고 하니 어디 쉬운 일이였겠습니까. 욕심과 고집이라도 조금 줄였더라면 적어도 실험용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았을 것 같은데 아쉬운 일이였습니다.아래 이미지는 조그만 수차를 돌려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구를 한번 켜보자며 모델링을 .. 더보기 UCP베어링 2d 도면 요즘은 라이브러리로 규격 부품 도면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고, 그런 프로그램만 서브로 존재하기도 합니다.분야에 따라 필요한 부품 도면이 다 다르겠지만 규격품의 경우에는 관련 기업에서 제공하는 도면을 사용하는 것이 작업 시간을 줄이고 효율적인 시간 관리가 될 수 있습니다. 저도 자주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끔 어딘가에 부품도면들을 모아놓고 있다가 필요할 때 꺼집어내어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그런데 귀찮아서.... 오늘은 동력전달장치 설계시 자주 사용하게 되는 UCP베어링 도면입니다.온라인에서 UCP204 베어링 유닛 도면 찾다가 모아놓게 되었네요. UCP베어링 3D 형상입니다.3D 도면도 제공해주는 곳이 많으니 잘 활용해보세요. 아래 UCP베어링 2D 도면을 첨부하였으니 필요하신 분 활용하시기 바.. 더보기 프로젝트로 모델링 했던 것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인벤터로 3D 모델링을 했던 것 들 입니다.구조물은 모델링 대상이 아니여서 구조물이 없는 상태에서 조립하여 보았는데 생각한 것과는 다르게 뜻데로 되지 않아서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당시 3d 모델링을 할 때 혼자 모든 부품을 모델링 하다보니 과정에서 조그만 오류가 생겨도 그것을 바로 잡는다고 밤낮없이 하루를 보냈던 것 같네요. 여기에 전체 조립할 때는 컴퓨터 사양이 받쳐주는지 못해서 상당히 버벅 거림 속에 조립했었던 것 같습니다.그냥 단품 모델링 할 때는 잘 못느끼는데 조립 제품이 많아지면 왜 고사양의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는지 확연히 느끼게 되죠.컴퓨터 사양 욕심은 그렇게 생겨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도 위 제품들은 형상이 단순해서 상당히 모델링 하기 쉬운 편입니다.하지만 당시.. 더보기 [눈으로 학습하는 인벤터] 쉬운 구조 프레임 모델링 인벤터에서는 구조 프레임 모델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스케치 할 때 전체 프레임 구성을 잘 생각하여 스케치 하고 나면 빔이나 잔넬, 각관등 구조용 프레임 재료를 적용시키면 금방 완성 됩니다.철구조물 모델링을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더군요.오늘 영상은 평면 프레임에 스크류 샤프트를 조립하는 간단한 영상입니다.어떻게 활용하는지 편하게 눈으로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을 보면 중간중간에 시행착오를 겪는 것도 나옵니다. 가급적 편집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영상을 올렸습니다. (영상을 그냥 올리려니 너무 맹숭맹숭해서 음악을 곁들여 봤습니다. 방해되시면 볼륨을 줄이고 보세요)아래 2배속 영상을 추가로 업로드 합니다. 저도 위 영상을 18분 동안 보고 있는다는게 지겹네요.^^;;; [2배속 영상..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